케이블의 종류는 규정된 약속에 따라 나누어 집니다. 케이블 종류 앞에 "카테고리(Category)"라고 붙여서 말하는 것이 통상적인 표현 방법이며 이는 대역폭(데이터를 동시에 얼마나 많이 전송할 수 있는가)에 따라 종류와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카테고리1 |
전화용(아날로그, 디지탈 데이타 전송시 사용) |
전화기 |
카테고리2 |
4Mbps 까지의 데이터 전송 |
T1, ISDN |
카테고리3 |
10Mbps 까지의 데이터 전송 |
10BasetT, ISDN, 4Mbps Token Ring |
카테고리4 |
16Mbps 까지의 데이터 전송 |
16Mbps Token Ring |
카테고리5 |
100Mbps 까지의 데이터 전송 |
100Base-T |
사용하시는 케이블이 10Mbps 이냐 100Mbps 이냐에 따라서 달라 질 수 있는 것입니다. 100Mbps 이면 그 만큼 많은 량의 데이타가 전송 되니 빠르 겠지요. 케이블이 지원하는 데이타 량을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현재 판매 되는 케이블의 속도는 모두 카테고리 5번을 사용합니다. 랜도 10/100 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케이블도 카테고리 5를 판매하는 것입니다. 랜 케이블에 보면 UTP CAT. 5 또는 CAT. 5 UTP라고 쓰여져 있을 겁니다.
좀더 빠른 케이블은 STP 인데 STP란 Shielded twisted pair 의 약자이고 UTP란 Unshieleded twisted pair 의 약자입니다. STP 는 커넥터 둘레에 보호막(얇은 전도막)이 있습니다. 판매처의 설명에 따르면 STP는 더 안정적인 전송 환경을 제공한다고 하는데 실제 이더넷 규격은UTP를 사용을 기준으로 제정된 것이라서 UTP를 사용해도 속도 차이를 실감하기는 힘듭니다. 정밀한 속도기로 측정하면 STP가 빠른 것으로 나옵니다.
'컴퓨터 활용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신 프로그램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테스트하는 방법 (277) | 2009.08.03 |
---|---|
포탈사이트 무료 웹하드 서비스 비교 (1152) | 2009.08.02 |
내 얼굴과 닮은꼴 연예인 찾기 서비스 (150) | 2009.07.19 |
클럽박스 마일리지 빨리 쓰셔야 할듯 (290) | 2009.07.18 |
내 컴퓨터 악성봇 감염여부 확인하는 방법 (0) | 2009.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