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현재 국산 프로그램인 ‘하이넷레코더’가 많은 사용자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하이넷레코더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저장법은 보물섬 활용에서도 찾을 수 있는데, 이번 시간에는 하이넷레코더 보다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한 ‘VOD Recorder’ 사용법을 알아볼까 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하이넷레코더 기능에 이어받기와 모든 형식의 동영상을 재생하고 자동으로 인터넷 동영상이나 음악 방송 주소를 찾을 수 있습니다.
VOD Recorder와 하이넷레코더 모두 써본 사용자는 두 프로그램이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을 겁니다. VOD Recorder는 하이넷레코더 제작업체인 훈넷과 북한 장생이 설립한 조선복권합영회사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VOD Recorder 설치법과 인터넷 동영상을 자동 주소로 캡처하는 방법과 IBH 파일로 저장하는 법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설치법
VODRecorderSetup.exe’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설치합니다. 설치 완료 후, VOD Recorder 폴더에 WinPcap 드라이버를 복사한 후 같은 폴더안에 설치합니다. WinPcap 드라이버는 VOD Recorder에서 자동 주소를 검색할 때 필요한 드라이버입니다. 만일, 자동 주소가 필요없는 사용자는 VOD Recorder만 설치해도 가능합니다.
2. VOD Recorder 자동 주소 캡처
자동 주소를 캡처하기 전에 주의사항을 살펴봅시다!!
* WinPcap 드라이버를 지원하지 않는 환경
통신환경이 ADSL 내장형이거나 ADSL에 OS가 윈도우 2000이면 WinPcap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없다. .설치하더라도 실행하면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니 자신의 통신환경을 우선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ADSL외장형에 윈도우98, Me 사용자는'NetVoyager'와 같은 접속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접속 프로그램인 'NetVoyager'는 여기를 클릭해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만일, 드라이버를 지원하지 않는 통신환경의 사용자는 자동 주소 캡처가 안된다고 포기하지 말고 다른 .Stream4U와 같은 .동영상 URL을 찾아내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URL 주소를 직접 입력해서 녹화하는 .방법도 있다.
자 그럼 VOD Recorder에서 자동 주소 캡처하는 방법을 살펴볼까요? 프로그램 창이 뜨면 [녹화]-> [자동 주소 캡처]-> [시작] 메뉴를 선택합니다. 또는 [Ctrl+Z] 단축키나 오른쪽 끝에 있는 돋보기 아이콘을 선택해도 가능합니다.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드라이버 선택창이 나타납니다. 선택한 후, 녹화하려는 인터넷 동영상을 선택합니다. 반드시 VOD Recorder 자동 주소 캡처를 먼저 선택해야 합니다* 간혹, 지원하는 통신환경인데도 불구하고 드라이버 선택창에 항목없이 표시하거나 드라이버 선택시 드라이버가 맞지 않아 다시 재부팅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같은 현상이 생기면 자동 주소 캡처하는 방법은 피하고 Stream4u와 같은 URL 검색 프로그램으로 직접 사용하세요.
아래와 같이 자신이 저장하고자하는 인터넷 동영상을 선택해서 클릭한 후 재생합니다.
VOD Recorder 창에 클릭한 동영상의 자동 주소 캡처 주소(상단 VOD Recorder 메뉴 옆 주소)와 파일이 나타납니다. 이 파일을 더블클릭하거나 빨간 녹화 버튼을 선택하면 ASF 파일로 저장합니다.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저장 폴더를 지정하는 창이 뜹니다. 현재 폴더를 변경하려면 [파일]-> [설정]-> [녹화] 탭에서 저장할 폴더를 정한 후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폴더 변경은 위와 같이 하고, 녹화 버튼을 더블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현재 c:temp 디렉토리로 설정하였습니다.
녹화를 시작한 후, 저장 폴더에 파일명을 변경하여 저장하면 하나의 파일이 아래에 생긴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녹화 시 왼쪽에 있는 화살표 재생 버튼을 클릭하면, 동영상을 감상하면서 녹화할 수 있어 지루함을 덜 수 있습니다.
3. IBH 파일 저장하기
VOD Recorder를 설치하면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는 파일이 모두 VOD Recorder에서 재생합니다. 인터넷 음악 사이트에서 녹화하고자 하는 인터넷 방송을 선택합니다.
각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녹화 하기 전, 파일명을 바꿉시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선택해서 [파일명 수정] 항목을 선택합니다. 선택하면 녹화 시작합니다. 위 아래 두개의 파일 모두 더블클릭하면 동시 녹화가 가능합니다. 물론, 음악을 감상하면서 녹화가 가능하답니다.
목록에 있는 모든 파일명과 주소를 IBH 파일로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저장한 IBH 파일명은 나중에 다시 작업할 수도 있습니다.
4. 기타
* 파일의 주소명은 상단 메뉴 위에 있는 ‘VOD Recorder’ 옆에 ‘mms://’로 시작하는 URL을 볼 수 있습니다. 동영상 또는 음악 파일이 있는 주소명입니다.
* 인터넷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URL을 직접 표시하고 있는 것도 볼 수 있습니다.
화면에 표시하고 있는 URL을 복사해서 [파일]-> [URL 열기] 메뉴를 선택하여 붙여넣습니다. 그리고 재생 또는 녹화 버튼을 눌러서 사용자 임의로 정할 수 있습니다.
* [파일]-> [ASX 자료실], [IBH 자료실] 메뉴를 선택하면 훈넷 뮤직비디오, 영화, 드라마와 같은 각종 멀티미디어 자료실로 이동합니다. 이곳에서 원하는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파일]-> [설정]-> [재생] 탭을 선택하면 지원하는 모든 파일 형식이 나타납니다. 만일, 윈도우 미디어 파일을 VOD Recorder에서 재생하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해당 옵션에 체크 해제합니다.
'동영상 편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영상 화면 일부분 편집 (프리미어) (2) | 2006.02.28 |
---|---|
DVD 두 장으로 나눈 것을 하나로 만들어보자. (2) | 2006.01.01 |
DVD 복사 관련... (2) | 2005.12.30 |
[펌] 용량 큰 동영상 웹에 올리기 (265) | 2005.08.20 |
[펌] DVD활용과 미디어선택 (736) | 2005.01.04 |